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간은 왜 태어나자마자 걷지 못할까

건강상식

by medinfo4u 2021. 1. 31. 10:29

본문

728x90

잠시 비틀거리다가도 바로 첫걸음을 내딛는 동물의 새끼

그런데

인간은 다르다 ?

 

인간은 왜 태어나자마자 걷지 못 할까 ?

 

울고 웃는 것 외에

먹는 것도 입는 것도 걷는 것도

스스로 할 수 없는 상태로

미숙하게 태어나는 인간

 

다른 동물처럼 태아가 충분히 성숙한 상태로 세상에 나오려면

임신 기간이 21개월은 되어야 한다.

- 제임스 맥테나 미국 노틀데임 대학 교수

 

 

인간이 미숙하게 태어나게 된 가장 큰 원인은

직립보행 때문이다.

 

600만 년 전부터 점차 두 발로

걷기 시작한 원시 인류

 

 

척추와 뒷다리를 이어주는 역할과

상체 전체를 지탱하는 역할까지 맡게 된 골반

좌우로 넓어지고 앞뒤로는 좁아진

그릇 모양의 형태로 점점 작아졌다.

 

 

그런데

사냥으로 동물 단백질을 흡수하며 커진

인간의 뇌

 

게다가

두발로 걷기 시작하면서

산도의 중간 부분이 비틀어졌다.

 

 

좁은 산도를 빠져나오면서 질식하는 아기

 

 

머리가 큰 아기를 낳다 세상을 떠나는 엄마

 

엄마의 몸에서 충분히 성장하기를 기다리면 모두 위험하다.

 

인류가 진화하며 찾은 최적의 임신 기간 평균 266일

 

 

세상에 처음 나왔을 땐 비록 기어 다니지도 못하지만

엄마의 가슴을 제2의 자궁으로 느끼며

엄마와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는 아기

탄생후 엄마와의 관계속에서 다시 한번 성장한다

 

 

그리고,

그 어떤 영장류도 가지지 못한 특별한 점

25%만 완성된 상태로 태어나는 뇌

 

 

만 한 살 무렵까지 배 속에 있을 때와 같은 속도로

빠르게 성장한다.

 

그 사이 소통하는 법을 자연스럽게 배우고

세상의 다양한 자극을 통해

감각도 매우 섬세하게 발달한다.

 

엄마 배 속에서 충분히 성장했던

원시시대보다 더 많은 것을 얻게 된 인류

 

 

인간이 도등한 지적 존대로 진화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요인은

뇌의 75%가 출산 뒤에 크는 특이한 성장 패턴을 잦게 됐기 때문이다.

- 랠런 워커, 팻 쉽맨 <뼈의 지혜> 1996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