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nfo4u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medinfo4u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TMI
    • 건강상식
홈태그방명록
  • 건강상식

검색 레이어

medinfo4u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원형탈모는 질병이다

    2021.10.04 by medinfo4u

  • 탈모는 불치병인가

    2021.10.04 by medinfo4u

  • 허리가 굽는 병, 척추 후만증이 생기는 이유와 척추관 협착증 관리 방법

    2021.05.28 by medinfo4u

  • 허리를 뒤로 젖혔을때 통증이 있다면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해야 한다.

    2021.05.28 by medinfo4u

  • 평소 습관이 디스크를 불러온다.

    2021.05.28 by medinfo4u

  • 근감소증에 대해 아시나요 ?

    2021.04.11 by medinfo4u

  • 성인 실명 1위 당뇨망막병증

    2021.03.28 by medinfo4u

  • 이것만 하면 눈건강 지킬수 있다

    2021.03.28 by medinfo4u

원형탈모는 질병이다

안드로겐 탈모는 모발이 가늘어지는 탈로라고 하면 원형탈모는 머리카락이 빠지는 탈모이다. 전두탈모는 원형탈모가 머리 전체로 번진 것이다. 정상적인 경우 모낭에 병균과 같은 외부 물질이 들어오게 되면 면역세포가 이를 물리친다. 그런데 면역기전에 이상이 생기면 면역세포가 자신의 모낭을 적으로 인식해 공격을 하고 모낭에 염증이 지속 되면서 탈모가 생기는데 이것이 웒여 탈모이다. 원형 탈모의 경우 보통 등그랗게 나타나는데 증상이 심할경우 큰 탈모반이 나타날 수도 있는데, 심해지면 눈썹, 팔, 다리 등 전신 탈모로 진행될 수 있다. 원형 탈모는 극심한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생길수 있는데, 처음에는 동전 크기로 시작해서 짧은 기간에 크게 번질 수 있다. 자가면역 질환인 원형 탈모에는 면역억제 주사치료 (스테로이드 제제..

건강상식 2021. 10. 4. 19:15

탈모는 불치병인가

탈모는 치료를 하는 동안만 좋아진다. 안드로겐이라는 남성호르몬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성에 관련된 남성호르몬은 테스토스테론인데 이 호르몬은 탈모를 유발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 테스토스테론이 5알파 환원효소에 의해 DHT라는 호르몬으로 바뀌게 되는데 이 DHT 호르몬이 모낭에 작용하게 되면 모장이 작아지는 모낭의 소형화가 진행되어 모발이 가늘어진다. 이렇게 모발이 가늘어 지면서 없어져 보이는 것이 안드로겐 탈모이다. 흔히 말하는 탈모는 머리까 빠진다기 보다 가늘어 지거나 솜털처럼 변해 비어 보이는 것이다. 탈모 환자의 43%가 20대~30대이다. 탈모 유형중 가장 많은 것이 남성 호르몬에 의한 안드로겐 탈모이다. 안드로겐 탈모증은 남성형과 여성형으로 나뉜다. 남성형 탈모는 모발선이 뒤로 후퇴하는 흔히 말하..

건강상식 2021. 10. 4. 18:41

허리가 굽는 병, 척추 후만증이 생기는 이유와 척추관 협착증 관리 방법

척추 후만증은 척추가 등쪽으로 솟아 오르면서 허리가 굽어버린 경우로 허리를 곧게 펴서 걸을 수 없고 걷더라도 지팡이나 유모차에 의지하지 않으면 걷기 어렵다. 퇴행성 척추 후만증이 생기는 이유 1. 뼈와 뼈 사이의 디스크가 마모가 심해지면서 뼈가 붙어 버리는 경우 후방에 있는 척추 기립근이 약화되면서 허리를 펼 수 없게 됨 2. 척추간 협착증을 방치하게되면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스스로 허리를 구부리게 됨 이것이 수년간 지속되면 고착화 된다. 3. 골다공성 압박골절 골다공성 압박골절 치료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압박된 상태로 굳어버려 허리를 펼 수 없게 된다. 척추 후만증 수술은 정형외과에서도 난이도가 매우 높은 수술이다. 척추관 협착증이 있는 허리 관리 방법 1. 침대 사용이 좋고, 다리 사이에 베개를 ..

건강상식 2021. 5. 28. 21:28

허리를 뒤로 젖혔을때 통증이 있다면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해야 한다.

척추관 협착증 : 척추관이 좁아지고 붙어 버림 척추관은 척추의 앞쪽인 몸체와 뒤쪽인 후방뼈 사이의 동그란 관을 척추관이라 한다. 이 관은 위쪽의 두개골과 연결되는 관이다. 이 관으로 뇌에서 시작되는 척추신경이 내려가는데 이 신경은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바닥으로 내려간다. 이 관이 좁아지게 되면 척추 신경이 눌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척추관 주변의 뼈와 인대가 두꺼워지면 관이 좁아져 척추 신경을 압박하게된다. 초기에는 허리 통증이 나타나면 심해지면 다리 통증이 발생한다. 척추관 협착증 의심 증상 허리를 뒤로 젖혀 5초이상 유지하고 있을 때 허리 또는 다리에 통증이 생기는 경우 척추관 협착증의 5단계 2단계부터는 30분이상 걷기 어려움 자리에서 일어나거나 자세를 바꿔 주물러야 함 5단계가 되면 오히려 ..

건강상식 2021. 5. 28. 21:22

평소 습관이 디스크를 불러온다.

허리에 가장 안 좋은 자세 허리를 구부리고 비트는 것, 허리에 진동을 느끼는 것 이중에서 허리를 밟는 행동은 척추에 진동을 느끼게 되어 디스크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또한, 나무에 등치기도 척추에 진동을 주는 행위로 좋지 않고, 허리뼈가 약한 사람은 금이 갈 수도 있다. 스트레칭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근육을 이완하는게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 허리 척추는 상체에서 내려오는 체중을 받아내고, 요추(허리)는 하체에서 올라오는 충격을 흡수해야 한다. 그래서 다른 부위보다 질병이 더 발생한다. 우리나라 국민 80%는 일상생활에 제한을 줄 정도의 허리 통증을 경험하고 있다. 대부분은 생활 습관만 바꾸면 증상이 좋아지는 단순 요통이며, 이중 15%는 치료가 필요한 척추 질환에 속한다. 추간판 탈출증이란..

건강상식 2021. 5. 28. 21:15

근감소증에 대해 아시나요 ?

근감소증, WHO는 2017년부터 우리나라에서 2021년 1월 정식 질병 코드로 등록되었다. 근감소증은 낙상골절, 뇌졸증, 골감소증, 당뇨, 치매에 두루 영향을 미친다. 건강 수명을 늘리는 방법은 근육에 달려있다. 한국은 아주 급격하게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5년뒤면 5명중 한명이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접어든다. 연구에 따르면, 80세 이상의 근감소증 환자 사망률이 3.5배 높다. 노년에는 근육과 뼈가 약해지면서 척추 힘이 부족하여 뒤로 넘어지기 쉬운데 이때 체중의 약 4배의 힘을 받으며 고관절이 부러지게된다. 고관절 골절의 경우, 치료가 될때까지 눕거나 앉아서 생활해야 하기에 휴유증이 크다. 왜 힘없이 넘어지게 되는 것일까 ? 뼈가 약해지는 것 뿐만 아니라 뼈를 둘러싸고 있는 근육의 양이 ..

건강상식 2021. 4. 11. 18:57

성인 실명 1위 당뇨망막병증

대한민국 성인 실명 1위 당뇨망막병증 눈에 생기는 대표적인 당뇨 합병증의 하나. 국내 당뇨병 환자 500만으로 이중 약 36만명이 당뇨 합병증인 당뇨망막병증을 앓고있다. 이는 최근 7년사이 17% 증가된 수치이다. 당뇨 합병증은 우리 몸의 모든 혈관에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뇌졸증, 심근경색과 협심증, 발에 흉터가 생기면서 썩는 당뇨발 외 콩팥과 눈의 혈관에도 이상이 생길 수 있다. 망막 안쪽엔 미세혈관들이 밀집해 있는데, 당뇨로 인한 높은 혈당이 망막 혈관에 손상을 줘, 혈액 순환 장애가 오면서 비정상적인 혈관이 자라게 되는데 이 혈관은 약하다보니 출혈이 쉽게 발생해 유리체 안이 피로 가득차 급격히 시력이 떨어진다. 또한 계속 진행되면 망막이 안구 안쪽에서 떨어지는 망막박리까지 발생해 실명까지 ..

건강상식 2021. 3. 28. 10:48

이것만 하면 눈건강 지킬수 있다

뇌 다음으로 혈관이 많은 눈, 현대인의 고열량, 고지방 위주의 식습관과 운동부족으로 인한 당뇨 환자가 늘고 있고, 이로 인해 황반변성과 같은 눈 질환이 늘고있다. 문제는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에까지 이를 수 있다. 실명을 피하는 방법 노화와 함께 찾아오는 퇴행성 눈질환은 누구도 피해갈 수 없다. 이미 손상이 된 망막은 되살릴 수 없다. 따라서 주기적인 검사가 중요하다. 비타민, 루테인, 지아잔틴, 아연 같은 황산화 비타민 복합제제의 복용하는 사람이 황반변성까지 가는 빈도를 조금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황반변성 예방에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는 마리골드(루테인), 블루베리(안토시아닌), 시금치(식물성 오메가 3), 당근(비타민 A) 가 있는데 단 과다 섭취시 독이 될 수 있다. 일상생활속 눈 ..

건강상식 2021. 3. 28. 10:41

추가 정보

250x250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9
다음
TISTORY
medinfo4u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