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족저근막염 예방과 치료

건강상식

by medinfo4u 2020. 11. 18. 21:25

본문

728x90

족저근막은 발뒤꿈치 뼈와 발가락 5개를 연결해주는 발바닥에 위치한 근육이다.

이 근육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 족저근막염이다.

 

족저근막 (From 네이버 백과사전)

2017년 어느날 여느때와 마찬가지로 사내 헬스장에서 헬스를하고 있었다.

간단히 근육 운동을하고 런닝머신에서 걷기를 하는데 갑자기 오른쪽 발 뒤꿈치에서 약하게 통증이 느껴졌다.

안하던 운동을 무리하게(?) 해서 아픈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틀정도 운동을 쉬었다. 그런데 일상 생활속에서도

통증은 가시지 않았고 특히 자고 일어나서 첫 발을 내딛을 때 통증이 강했다.

 

통증이 약간 기분이 나쁜 참을 수 있을 정도의 통증이어서 그대로 일상 생활을 해 나갔다.

그러던 어느날 퇴근을 하는데 도저히 발을 땅에 디딜수 없을 정도로 통증이 심해져서 결국 병원을 들렀는데

족저근막염 판정을 받았다.

 

족저 근막염이 생기는 이유는 장시간 서서 근무를 한다거나 바닥이 딱딱한 신발을 신는 등 원인이 다양한데

나의 경우 주로 구두, 단화등 바닦이 딱딱한 신발을 즐겨 신으면서 많이 걷는 습관 때문인듯 하다.

 

치료는 약물치료, 레이저치료 그리고 물리치료 등 여러가지 치료법이 있지만 완치되는 병이 아니기에 당장의

염증만 제거하는 시술이다.

즉, 지속적으로 관리해주지 않으면 염증 치료후 다시 재발 확률이 높다.

 

나는 매일 퇴근 후 카페트 위에 골프공을 올려놓고 그위에 발을 올려 뒷꿈치가 부위를 가압하여 마사지하는

방식으로 치료를 했다. 물론 살아가는 동안 지속적으로 이렇게 관리를 해줘야 한다.

 

우선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체중 관리를 해야한다. 그리고 신발은 바닥이 딱딱한 신발보다는 쿠션이 좋은

신발을 신는 것이 좋으며, 집에서 TV를 보면서도 틈틈이 발 마사지를 해주면 족저근막염 발생을 늦추거나

예방할 수 있다.

 

 

 

 

728x90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지혈증 & 심근경색 & 담석증  (0) 2020.12.10
고지혈증 & 동맥경화  (0) 2020.12.09
요실금  (0) 2020.12.08
전립선암  (0) 2020.12.07
전립선 비대증  (0) 2020.12.06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