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명의에 나온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직장인이라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지혈증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고지혈증은 유전적인 원인, 환경적인 원인 모두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이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빠르게 오르기도 한다.
고지혈증을 얘기하려면 먼저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의 에너지 원이고 세포와 장기를 구성하는 성분이기도 하며 호르몬을 만드는 재료가 되기도 한다.
콜레스테롤의 30%는 음식으로 섭취되며 나머지 70%는 간에서 만들어 진다.
콜레스테롤은 LDL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이 있는데, LDL콜레스테롤은 간에서 만든 콜레스테롤을 혈관을 따라 조직으로 이동하는 역할을 하는데 너무 많으면 혈관벽에 스며들어 혈관이 좁아지는 동맥경화를 유발한다. 반면 HDL 콜레스테롤은 혈관에 쌓인 콜레스테롤롤을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총 콜레스테롤은 200 이하로 관리해야하며, LDL은 130이하, 반면 HDL은 60이상 유지해야 한다.
금주, 지방섭취 줄이기, 운동을 통해 콜레스테롤 변화 확인 필요.
중성지방은....
음식이나 내장지방에서 지방산이 간으로 전달되고 합성되어 만들어진다. 지방이나 탄수화물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내장지방이 늘어나고 혈관내에 중성지방 수치가 높아진다.
중성지방은 150mg/dL이하가 정상이고, 150~190 사이가 경계, 200 이상이면 고지혈증으로 판정한다.
ㅁ 고지혈증
고지혈은 혈액에 지방이 많은 상태를 말하며 이상지혈증 이라고도 한다.
14시간 금식후 혈액 검사를 해보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과 같은 지방수치가 올라간 경우로 콜레스테롤도 LDL과 HDL두 종류가 있다.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는 나쁜 콜레스테롤이 LDL로 높으면 문제가 되는데 L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가 높은 상태가 고지혈증이다.
고지혈증을 방치하게되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건 혈관이다. 시간이 지나면 좁아지고 막히게되는데 흡연, 당뇨, 고혈압과 동반시 혈관의 스트레스가 높아져 혈관 벽 약화, 파열, 갈라짐이 생길 수 있다.
고질혈증은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을 너무 많이 먹거나, 근육감소, 운동 부족 또는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 또는 고열량의 음식 섭취등으로 혈관을 보호해주는 HDL이 감소하게 되어 발생되는 질환이다.
2019년에는 고지혈증 관자가 2백만명을 넘어섰으며 기름진 음식과 육식을 즐기는 식습관으로 젊은 고지혈증 환자가 늘고 있는 추세다.
우리나라 콜레스테롤 수치 평균이 200(mg/dL)이하로 보통 180~190 정도이다.
약물치료
고지혈증 치료제는 스타틴 이라는 약물이 있는데 LDL을 간에서 흡수하여 혈관으로 유입되지 않게하여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약이다.
부작용은, 간에 효소치를 상승시켜 간에 염증을 유발하거나, 근육 효소치를 상승시켜 근육 염증을 유발할 위험성이 있어 부작용 위험이 큰 환자는 약을 약하게 써야 한다.
하지만, 식단조절과 운동만으로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20~30% 낮출수 있다.
고지혈증 환자는 포화지방 섭취를 줄여야 하는데 포화지방이란 상온에서 딱딱하게 굳어지는 동물성 기름으로 육류, 버터, 치즈, 마요네즈, 라면등에 많이 들어있다.
컵라면에는 포화지방 6.4g, 햄버거에는 6.1g이 들어있다. 식품의약처가 권장하는 포화지방 1일 권장치는 15g이다.
포화지방 및 과도한 탄수화물대신 불포화 지방 (들기름, 올리브유, 견과류, 생선) 섭취 권장
ㅁ 동맥경화
심장에서 뇌로가는 혈관은 4개 인데 좌우에 2개의 경동맥이 있고 이 경동맥이 뇌에 공급되는 혈액의 80%를 공급하는 매우 중요한 혈관이다.
우측 그림과 같이 혈관이 끊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이 혈관이 막혀 좁아진 영역이다.
경동맥의 이상을 방치할 경우 뇌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경동맥은 내막, 중막, 외막으로 이루어 져있으며, 내막과 중막의 두께는 0.5~0.9mm로 두께가 1mm 이상이 되면 동맥경화로 판단하며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발병 의험이 각각 2배, 5배로 증가하게 된다.
수술치료 : 경동맥 내막 절제술
혈관이 막힌 부분 주변의 혈관을 막아 혈액의 흐름을 차단한다.
혈관이 막힌 부분을 절개한후 수술중에도 혈액이 뇌에 공급될 수 있도록 관을 연결해준다.
플라크는 혈관 내막에 붙어있기 때문에 플라크와 내막을 절개하여 제거한다.
경우에 따라 중막까지도 제거한다.
이후 혈관과 비슷한 재질의 패치를 혈관에 덧데어 꿰메준다.
관을 제거하고 남은 부위를 꿰멘다.
고지혈이 있는 경우 경동맥 뿐만 아니라 다른 혈관도 잘 관찰해야 한다. 어느 혈관에서든 플라크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플라크 혈관 내부에 지방과 기름덩어리가 엉겨붙어 생긴 조직으로 이러한 플라크가 떨어져 뇌로 흘러 들어가게 되면 뇌 혈관을 막아 뇌에 문제를 발생 시킨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