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nfo4u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medinfo4u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TMI
    • 건강상식
홈태그방명록
  • 건강상식

검색 레이어

medinfo4u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노안

  • 황반변증, 스마트폰 사용이 실명을 부를 수 있다.

    2021.03.23 by medinfo4u

  • 노안

    2021.01.16 by medinfo4u

황반변증, 스마트폰 사용이 실명을 부를 수 있다.

황반변성 우리나라 노인 실명 원인 1위 황반부가 어떤 이유로든 변성이 되고 변질이 되면 황반변성이 된다. (왼쪽 : 정상안, 오른쪽 : 황반변성) 우리 몸에서 가장 고도로 발단한 감각기관 “눈” 인간이 얻는 정보의 70%를 시각에 의존할 정도로 눈을 통해 세상을 마주한다. 100세시대 실명을 피하는 방법 황반변성은 70대 3~4명중 1명이 앓고 있다. 황반변성이 있는 사람은 자외선을 차단해 줘야 한다. 사각형이 상하로 찌그러진다거나, 글짜가 휘어지는 현상이 생기면 황반변성을 의심해봐야 한다. 각막은 가장 앞쪽 투명한 부분으로 빛을 굴절시켜 눈의 검게 보이는 동공으로 빛을 모은다. 동공 주위의 도넛형태의 홍채는 수축과 이완을 통해 빛의 양을 조절하고 수정채가 두께를 조절해 초점을 맞춘다. 안구 가장 안 쪽..

건강상식 2021. 3. 23. 22:11

노안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말하지만 문득 나이를 느낄때가 있다. 갑자기 눈 앞이 흐려지거나 초점이 맞지 않을때, 책읽기가 예전 같지 않을 때 우리는 나이를 실감하게 된다. 눈도 나이를 먹는다. 외모만으로는 나이를 가늠하기 힘든 요즘 노년의 기준도 점점 늦춰지고 있다. 근거리 시력 검사표 0.5의 글자를 읽을 때 편한 거리를 측정해 30cm 가 넘으면 노안이 시작된 것으로 본다. 개인 차이는 있으나 보통 40대에 들어서면 나타나기 시작한다. 노안 수정체가 탄력성이 없어지면서 생긴다. 수정체는 아주 유연한데 노화가 되어 유연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눈의 노화 : 눈은 어떻게 나이를 먹는가 ? 눈은 제2의 뇌라 불린다. 빛을 받아들여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하면 사물을 인식하게 된다. 눈은 빛을 모아주는 각막, ..

건강상식 2021. 1. 16. 17:30

추가 정보

250x250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medinfo4u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